금융시장에서의 공짜점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당신이 만약 채권에 대해 공부를 좀 했다면 지금쯤 궁금한 점이 생겼을 것이다. 채권 투자에서 가장 핵심적인 원리는 안전 자산이라는 것이다. 왜 안전자산이냐면 어떠한 채권이든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Par가격으로 발행되어서 만기일에는 반드시 Par가격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라고 했다. 주식투자에서도 일정한 기간 후에는 무조건 투자 원금으로 돌아온다면 얼마나 좋겠냐만은 이런 원칙은 딱 채권에서만 존재한다. 그렇다면, 디스카운트 채권을 사서 만기까지 보유한다면 이자를 제외한 자본차익까지 챙길 수 있다는 말인데 그게 사실이라면 이 세상에 공짜 점심이 존재한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채가 100만원의 액면가로 Par 가격에 발행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시장 이자율이 급등해서 채권의 가치가 확 내려갔다. 채권의 현재 가치가 50만원 정도 하락했다고 가정해보자. 또 다른경우는 채권을 Par 가격에 발행하고 나서 금리가 급락하여 채권 가격이 150만원으로 급등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결국 채권 만기일에는 두 채권 모두 반드시 Par가격인 100만원으로 끝난다고 했다. 당신이라면 위 채권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 프리미엄 채권을 살 것인가? 아니면 디스카운트된 싼 채권을 구매할까? 쉽게 예를 들면 하나는 50만원에 살 수 있는 채권이고 이 채권은 반드시 만기일에는 100만원이 된다. 150만원짜리 채권 역시 만기일에는 반드시 100만원 이 된다.
할증채와 할인채
간단하게 생각하면 150만원 짜리 프리미엄 채권을 매수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 반대로 할인채인 50만원 짜리가 결국 만기일에 100만원이 된다면 손쉽게 돈 벌 수 있는 일이라고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수백 번 강조해도 모자르지 않는 것이 있다면 금융의 세계에는 공짜 점심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150만원짜리 채권이 만기일에는 반드시 100만원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50만원 짜리 채권도 결국은 반드시 100만원이 되는 것 역시 분명한 사실이다. 그런데도 이 두 개의 채권은 거의 큰 차이가 없다. 이유가 뭘까? 이표 때문이다.
할증채, 즉 150만원짜리 채권은 이표가 상당히 높다. 현재 시중의 이자율보다도 훨씬 높은 이표를 지급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비싸게 샀고 만기에는 자본손실이 생기지만 만기까지 받게 되는 이표로 자본손실을 모두 보상받게 된다.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해본다. IMF 때 만들어진 채권이 있다고 하자. 그 채권의 금리는 20%이다. 그럼 1년에 이자를 20%나 준다는 말이 된다. 이 채권의 액면가는 1억원이고 만기가 10년이라고 가정해보자. 그럼 이 채권으로부터 나오는 이자의 합만 해도 무려 2억원이 된다. 액면가는 겨우 1억원이 불과하지만 이 채권을 보유함으로써 만기까찌 2억원을 보장받을 수 있는 상황인데, 마침 정부가 금리를 낮추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해 이자율이 5%까지 급락을 했다고 하면, 이 채권의 가치는 더욱 오를 것이다. 재투자 수익을 제외하고, 지금 막 발행되는 5%짜리 채권은 10년 동안에 받을 수 있는 이자가 고작 5,000만원 정도인데 이미 발행된 20%짜리 채권은 이자로만 2억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더 비싸게 거래될 수 있따. 액면가 1억원인데 프리미엄이 1억이 붙어서 2억원에 거래되고 있다고 하자. 이 채권은 2억원에 산다고 해도 10년 후에 는 반드시 PaR가격인 1억원이 된다. 그럼 1억원의 자본손실을 보는 것이 맞다. 하지만 이전에 현금흐름이 워낙 출중하므로 현재 가격은 액면가보다 월등하게 높을 수밖에 없다.
2022.01.17 - [분류 전체보기] - 공유경제에서 일어날 일들
공유경제에서 일어날 일들
공유경제의 시대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재화의 활용률이 높아지고 불필요했던 낭비가 사라진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보자. 개인 소유의 시대에서 대량 생산된 차들은 태어남과
xmalleydrye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