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경제,정치이야기 (23) 썸네일형 리스트형 듀레이션 3 채권을 설명하기 어려운 이유 '채권의 매매 수익률'에서 이미 살짝 설명했짖만, 그떄 이해를 잘 못했다면 당신은 아마도 10%의 채권을 선택했을 것이다. 1억원을 투자했을 떄 1,000만원의 이자를 주는 것ㅇ ㅣ500만원 보다 많아 보이니까 말이다. 하지만 채권 투자에 있어서 액면 이자율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다시 설명해보자. 액면 이자율이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조삼모사'다. 액면 이자를 아무렇게나 설정해도 당신이 최종적으로 그 회사로부터 받는 이자는 거의 같기 때문이다. 할인 발행 혹은 할증 발행이라고 하는데, 액면 이자율은 그냥 요식적으로 정하는 것이므로 채권을 매수할 때 특별한 상황이 아니라면 거의 고려 대상이 아니다. 그보다는 매수 수익률이 좋아야 하겠다. 사실, 이부분도 고객들에게 설명하기 .. 듀레이션 2 듀레이션 이자율 위험 당신이 만약 가격 변화율이 작은 A채권을 샀다면 적어도 80%는 맞은 것이다. 그 선택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듀레이션이 큰 B채권이 무조건 위험한 채권이라고 평가해서는 안된다. 듀레이션은 단지 가격변동 위험만을 나타내는 지표이지, 고유의 신용위험을 모두 보여줄 수는 없다. 보다 정답에 가까운 선택이라면 전제가 하나 더 붙어야 한다. "같은 신용위험의 채권이라면 A채권이 더 좋다"라고 말ㅇ다. 실제로 주식에만 투자했던 투자자에게 채권을 소개할 때 ㅅ러명하기 어려운 부분 중 하나가 '위험'에 대한 이해다. 주식과 채권은 고려해야 하는 위험의 성격이 전혀 다른데, 이것을 같은 시각으로 보니까 설명하기 어려운 것이다. 채권 위험 VS 주식 위험 다시 정리해보자. 채권투자에서 가장.. 듀레이션 이야기 듀레이션의 개념 채권을 처음 공부할 때 가장 중요한 개념이 '듀레이션'이다. 얼마 전 경기흐름을 12개의 단계로 나누어 얘기한적이 있는데, 채권 매니저들이 주가가 올라가기 직전에 듀레이션을 짧게 만든다고 했다. 그 이유가 뭘까? 우선 주식과 채권의 기본적 특성을 다시 상기해보자. 주식은 현재 가격이 모두 드러나 있다. 그래서 지수를 만들기가 쉽다. 200개의 대표종목을 뽑아 코스피 200지수를 만들거나 대표종목 30개만을 모아서 지수를 만드는 것이 전혀 어렵지 않다. 하지만 현재 가격이 정확하게 모든 고유 가치를 반영하지는에 대해서는 누구도 알 수 없다. 소위 적정가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적정 주가를 파악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차기 배강'이나 성장률을 정확하게 추정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 대한민국에서 창업을 하려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것 2편 규제의 그물2 물론 정부관계자들도 규제를 풀려는 노력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풀지 못하는 이유는 과거 완장을 두르고 있는 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규제가 하나의 부서로부터만 만들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좋은 의도를 가진 정부 관계자들도 규제를 풀려다가 포기해버리고 만다. 예를 들어보자. 요즘 심장 질환을 호소하고 있는 환자들이 많아지고 있는데, 심전도 측정하려면 병원에서 주는 기계를 몸에 온종일 부착하고 있어야 한다. 워낙 대기 하는 환자가 많아서 24시간 후에는 기계를 반납해야 하는데, 그 안에 빈맥이나 부정맥이 실제로 나타나지 않을 경우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개발된 것이 스마트 워치에 심전도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을 스마트 워치에 적용하려면 의료기기.. 대한민국에서 창업을 하려면 꼭 알아두어야 할 것 1편 오토바이 지옥 대한민국 나는 개인적으로 오토바이를 좋아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오토바이로는 갈 수 없는 도로가 참 많다. 가족들을 보러 가려고 해도 복잡한 도심을 가로질러 가야만 한다. 올림픽대로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 속초에 가려 해도 굳이 팔당대교를 넘고 위험한 국도를 통해서 가야 한다. OECD 국가들 중에서 유일하게 오토바이의 고속도로 통행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영종도를 가려면 1시간이면 충분한 거리를 국도로 이동해서 인천 월미도까지 간 다음 배를 타고 건너가야만 한다. 왕복하기 위해서는 배 시간까지 조젖ㄹ해가며 종일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 것이다. 굳이 고속도로가 아니더라도 도심의 평범한 도로에서 바이크의 동행이 금지되어 있는지도 모르고 가다가 교통경찰에게 단속을 당한 적도 있다. ".. 실전투자의 시작 8편 투자자에 따라 , 혹은 자산의 성격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자산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공부한 바 있다. 예를 들어 원금을 잃어버릴 경우 노후를 망칠 수도 있으므로 연금 재정을 가지고 위험한 자산에만 몰빵해서 투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아이들 학비 같은 재원은 결코 손해볼 수 없는 매우 중요한 자금이므로 따로 떼어서 관리해야 할 것이다. 그런 투자에 지침이 되는 중요한 지표가 있다. 어떤 투자자산의 안전도를 보여주는 지표인데, 앞에서 얘기했던 위험대비 기대수익이 높은 자산을 고르는 것이 주로 주식이나 주식형 펀드에 적용되었던 공식이라면, 이번에 소개할 지표는 같은 위험 대비보다 안전한 자산을 골라내는 데 필요한 공식이라 할 수 있다. SF Ratio 당신에게 안전이 무척 중요한 목돈이 있다고 .. 실전투자의 시작 7편 투자효용을 높이는 방법 투자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당신과 궁합이 잘 맞는 자산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당신이 포트폴리오를 자낼 필요도 능력도 없겠지만 당신은 이미 구축된 포트폴리오가 과연 당신에게 잘 맞는지는 분명하게 알 필요가 있는데, 이런 일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앞서 거론했던 '투자 효용함수'이다. 일단 간단한 공식을 하나 제안하겠다. 굳이 공식을 기억해둘 필요는 없다. 자주 쓰이는 것이 아니므로 이런 것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있다가 나중에 필요한 일이 생기면 찾아보면 될 일이다. 투자효용함수 = 기대수익 - 0.005 x 위험 회피성향 x 표준편차 제곱 이 공식에 대한 원리는 당신이 굳이 알 필요는 없다. 왜 기대수익에 왜 하필이면 0.005를 빼는지도 알 필요가 없다. 일단 변수 하나하나를 .. 실전투자의 시작 6편 좀 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다시 CML로 가보자. 당신이 투자성향을 정확하게 분석해본 결과 리스크 감수성이 중간 정도인 4정도라고 해보자. 현재 시점에서 무위험수익률은 2%이고 (모두 국채만 매수했을 시) 시장 상황에 맞춘 최적의 '탄젠시 포트'의 수익률은 7%였다고 가정해보자. 탄젠시 포트는 위험률 대비 성과가 가장 좋은 포트폴리오를 말한다. CML과 마코위츠의 효율적 경계선이 만나는 접점을 의미하고, 다른말로는 'M'이 된다. 이제 당신이 부자가 되었다고 가정하고 1년 목표 수익을 6%로 잡았담녀 정교하게 계산되어 만들어진 최적의 M과 무위험 자산 채권을 적절하게 배분해서 6%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기 위해 위험자산인 탄젠시 포트에 대한 비중을 W로 정의하면, 6 = 7 x W.. 실전투자의 시작 5편 CML? SML? 당신이 전문가 수준의 정교한 자산 배분을 하려면 'CML (Capital Market Line)' 이나 'SML(Security Market Line)' 이론과 같은 포트폴리오 기법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당신이 전문가가 아니니까 이것저것 계산해가면서 정교한 자산 배분을 할 필요는 없다. 당신은 그저 어떤 전문가가 만든 포트폴리오에 투자할까를 결정할 때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는 '투자 효용함수'같은 지식만 알고 있으면 된다. 그래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기법에 대해서는 그냥 간단하게 그 의미만 설명하고자 한다. 상식선에서 알아두면 좋으나 앞부분은 살짝 어려울 수 있으니 그냥 이해하지마 못하면 넘어가도 좋다. 과거에 개인 투자자들은 거의 하나의 종목에 몰빵하는 스타일로 투자를 하.. 트리즈(TRIZ) (2) 트리즈(TRIZ) 마무리 트리즈에 대한 이야기를 마무리 해보고자 한다. 애플은 대단한 로열티를 가진 회사다. 하지만 애플의 히트 작품에서 애플이 창조한 것은 없다. 애플이 재기하는데 혁혁한 공헌을 했던 것은 MP3였는데, 이것을 처음 만들었던 것은 우리나라였다. 일단 높은 자리에 오르면 '갑질'부터 시작하는 우리나라 몹쓸 관행이 문제다.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수 있는 멋진 발명품을 창조하고도 각종 '규제 갑질' 때문에 정작 우리나라 시장에서는 꽃도 피우지 못하고 그 과실은 후발 주자였던 애플이 가져갔다. MP3로 승기를 잡은 애플이 다시 한 번 크게 퀀텀 점프 할 수 있게 했던 스마트폰도 그들이 처음 만든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들은 MP3로 세계시장을 단숨에 석권했고, 기존의 휴대폰들을 빠르게 멸종.. 이전 1 2 3 다음